음악세계

LP진열장 프로그레시브 아트락 섹션을 채우고 있는 음반들, 주로 시완레코드 라이센스 앨범들이 보인다.

  예전 90년대 초반까지도 국내 Rock 음반시장은 모(某) 라디오 프로그램들에서 소개된 음반들 구하기가 하늘에 별따기라, 조악한 음질의 저질 해적판들과 검열로 인한 부지기수의 금지곡이 제외된 라이센스음반들마저도 갈천대우(竭川待雨)하는 심정으로 애타는 소수 음악매니아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고, 그 당시 라디오 방송을 녹음해서 그 것을 더블데크(요즘 젊은 분들 알기나 할까?) 카세트를 이용해서 복제해서 친구들과 카세트 테이프를 나눠 듣는 게 유행이었다. 그 시절 아날로그 라이센스 LP의 음질 또한 성음을 제외하고 해외의 원반 및 라이센스 만큼 좋지 못했다. 아날로그 시절의 일본음반시장은 넘사벽이었고, 음악 저변 또한 국내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매니어층이 두터웠다.

 

사실 2000년 초반 모(某) 회사 연구소에서 만난 연구원들과의 대화 또한 내게는 약간 충격적으로 다가왔다.

'취미가 뭐냐?' 하길래, '음악감상'이라 답했더니 '그 건 취미측에도 끼지 못한다'라고... 빙그레 웃으며 말했었다. 그 시절 MP3가 막 활개를 치던 시기였던지라... 하지만, 그 때까지도 MP3를 잘 몰랐고 CD와 LP, 녹음을 위한 공테이프 3종세트에 익숙한 내게 조금은 화나는 얘기였다. 학창시절 술값을 제외한 용돈의 대부분을 음반구매에 허비(?)하고 음악을 유일한 낙처럼 느끼고 살아왔던 내게 MP3의 가벼운(?) 존재감은 소유냐, 무소유냐의 내적갈등을 유발하였다.

 

예전에 그토록 부러워했던 아파트 몇 채 값을 지불하면서까지 음반구매에 열중하는 대단한 콜렉터들처럼 이젠 MP3가 아니라, 무손실 음원으로 컬렉션을 완성하고, 그 목록에서 누락된 빠진 이(?)를 채우기 위해 CD구매하여 음반을 음원추출용으로 사용후 그 음반들을 장식장 한 켠에 방치하여 흉물스런 존재로 치부해버리는 나를 발견한다.

 

예전에 LP음반들을 몇 장씩 사들고, 주린 배를 채우자마자 그 LP의 묘한 향을 맡고 정성스레 턴테이블에 올려놓고 전곡을 혹은 몇 곡을 카세트테이프에 녹음해서, 열 번이고 스무번이고 듣고 또 듣고 했었는데, 이제는 넘치는 컬렉션을 감상할 시간조차 부족해서, 이제는 '평생들어야 하나?'부터 고민스레 그 감상 목록을 나름 정리해서 부족한 시간을 할애하여 듣곤 한다.

 

소유의 부질없음을 느끼며,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이르러 일회성으로 소모품마냥 몇 번 듣고 삭제해버리는 음악들이 흘러 넘쳐나는 시대에 백년도 채 못되는 미디어인 기록된 음반들을 미련스레 몇 장 쥐고 버리지를 못하고, 시간날 때마다 들여다 보면서, 앨범속에 숨겨있는 해설지를 읽어내려가면서 느리게 느리게 음원들과 스스로 정리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